지난 글에 이어 IB수업을 위해 가장 먼저 작업해야 하는 POI(Program of Inquiry)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게요.
* 본 이야기들은 IB 인증학교의 '일반' 교사로서 제가 알아가고 실천했던 내용들을
아주 사적인 문장으로 전달하는 글이라는 걸 꼭 기억해 주세요.
POI 만들기 2차전
1. 초학문적 주제와 하위 세부주제 정하기
- 일 년 동안 아이들과 함께 탐구하게 될 여섯 가지 초학문적 주제를 나열합니다.
- 순서는 중요하지 않아요
- 초학문적 주제를 정하면 세부주제 또는 소주제라고 말하는 조금 더 구체적인 주제들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 다만, 최종적으로 전 학년에 걸친 가로 세로 밸런스 맞추는 작업을 합니다.
이 학습지는 월드스쿨 교사이면서 네이버 블로거 율쌤께서 만드신 학습지의 이미지예요.
처음 보는 분들도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만들어져서 보기 좋으실 것 같아요.
율쌤 블로그에도 IB이야기 설명이 잘 되어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방문해 보세요.
2. 핵심개념, 관련개념 정하기
- 핵심개념은 초학문적 주제를 탐구할 때 착용할 렌즈라고 생각하면 좋아요.
예를 들어 '우리 모두의 지구'라는 초학문적 주제를 선택하고
하위 세부 주제를 '제한된 자원을 다른 사람들 및 다른 생명체들과 공유해야 하는 갈등 속에서 권리와 책임'으로
선택했다면 학생들 손에 아래 일곱 가지 핵심개념 중 어떤 렌즈를 쥐어주느냐를 선택하는 거예요.
1) 형태
2) 기능
3) 원인
4) 변화
5) 연결
6) 관점
7) 책임
↘ 저희 학년에서는 형태, 연결, 책임 세 개의 핵심개념을 사용했습니다.
- 핵심개념과 연결된 관련개념은 정해진 것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탐구활동과 연관성 있는 개념적 용어를 교사가 선택하는 것입니다.
↘저희 학년에서는 관련개념을 자원, 과학기술, 지속가능한 발전 이란 용어를 선택했습니다.
다음 글에선 중심아이디어 만들기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게요.
'Book & Education > IB 수업 준비 부터 실천까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IB수업] POI(Program of Inquiry) 만드는 과정(1) (0) | 2024.11.25 |
---|---|
[IB수업] 어떻게 준비할까요? (0) | 2024.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