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 Education/IB 수업 준비 부터 실천까지

[IB수업] POI(Program of Inquiry) 만드는 과정(2)

728x90
반응형

POI

 

 

지난 글에 이어 IB수업을 위해 가장 먼저 작업해야 하는 POI(Program of Inquiry)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게요.

 

 

* 본 이야기들은  IB 인증학교의 '일반' 교사로서 제가 알아가고 실천했던 내용들을

아주 사적인 문장으로 전달하는 글이라는 걸 꼭 기억해 주세요.

 


POI 만들기 2차전

 

1. 초학문적 주제와 하위 세부주제 정하기

 

 - 일 년 동안 아이들과 함께 탐구하게 될 여섯 가지 초학문적 주제를 나열합니다.

 - 순서는 중요하지 않아요

 - 초학문적 주제를 정하면 세부주제 또는 소주제라고 말하는 조금 더 구체적인 주제들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 다만, 최종적으로 전 학년에 걸친 가로 세로 밸런스 맞추는 작업을 합니다.

 

 

율쌤

 

 

이 학습지는 월드스쿨 교사이면서 네이버 블로거 율쌤께서 만드신 학습지의 이미지예요.

처음 보는 분들도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만들어져서 보기 좋으실 것 같아요.

율쌤 블로그에도 IB이야기 설명이 잘 되어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방문해 보세요.

 

반응형

 

 

2. 핵심개념, 관련개념 정하기

 

 - 핵심개념은 초학문적 주제를 탐구할 때 착용할 렌즈라고 생각하면 좋아요.

 

예를 들어 '우리 모두의 지구'라는 초학문적 주제를 선택하고

하위 세부 주제를 '제한된 자원을 다른 사람들 및 다른 생명체들과 공유해야 하는 갈등 속에서 권리와 책임'으로

선택했다면 학생들 손에 아래 일곱 가지 핵심개념 중 어떤 렌즈를 쥐어주느냐를 선택하는 거예요.

 

1) 형태

2) 기능

3) 원인

4) 변화

5) 연결

6) 관점

7) 책임

 

↘ 저희 학년에서는 형태, 연결, 책임 세 개의 핵심개념을 사용했습니다.

 

 - 핵심개념과 연결된 관련개념은 정해진 것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탐구활동과 연관성 있는 개념적 용어를 교사가 선택하는 것입니다.

 

↘저희 학년에서는 관련개념을 자원, 과학기술, 지속가능한 발전 이란 용어를 선택했습니다.

 

 

다음 글에선 중심아이디어 만들기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게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