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 Education/School

2009개정 음악과 교육과정_#5 개정의 주요내용(3)

728x90

*이미지출처 : 구글이미지검색(음악)

 

* 본 내용은 교육부 자료를 정리한 것이며 작은 글씨는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일뿐입니다.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내용(3)

 

 

3. 감상영역

 

 영역

내용체계 

성취기준 

 3~4학년 군

5~5학년 군 

감상 

 2-1. 음악의 요소 및 개념 이해하기

 (1) 3~4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 및 개념에 대해 구별할 수 있다.

 (1) 5~6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 및 개념에 대해 구별할 수 있다.

2-2.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감상하기 

 (1) 표제 음악 등을 듣고 악곡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1)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을 듣고 음악의 특징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2) 노동요, 놀이요, 춤곡, 행진곡 등을 듣고 음악의 쓰임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2) 의식음악, 축제음악, 풍류음악 등을 듣고 쓰임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 음악의 요소란 무엇인가?

어떠한 '소리'가 '음악'이 되기 위해서 필요한 요소를 음악의 요소라고 한다. 리듬, 멜로디, 화성(하모니)를 음악의 3요소라고 하는데, 교사가 먼저 이 요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보통 음악은 길고 짧은 음과 강하고 약한 음이 순차적으로 결합되거나 반복되는데 이를 리듬이라고 한다.  이 리듬에 음의 높고 낮은 변화가 더해지면 이것이 멜로디(가락, 선율)가 된다.  그리고 동시에 여러 음이 표현되는 것을 하모니(화성)이라고 한다.

 

 

리듬 : 리듬은 음악의 뼈대가 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데, 실제로는 조금 다른 개념이지만 음악의 3요소로서의 리듬은 '박자'. '빠르기'의 개념과도 같이 생각할 수도 있다.

 

아주 오래 전부터 음악의 빠르기는 인간의 심장 박동수와 관련이 있다고 이야기된다. 아이들에게도 보통빠르기(Moderato, 모데라토)는 편하게 걸을 때의 심장 박동수와 비슷하다고 말한다.

 

'걸으면서 편하게 흥얼거릴 수 있는 빠르기'라고 이야기하면 어느 정도 감을 잡고 이것을 기준으로 더 빠르면 어느정도인지, 더 느리면 어느 정도인지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멜로디(가락, 선율) : 사람들은 음의 높낮이가 변화하는 멜로디를 어떻게 느낄까? 연속되는 음에서 올라가는 패턴 혹은 내려가는 패턴을 멜로디 윤곽이라고 하는데, 흔히 멜로디라고 느껴지는 것은 사실 멜로디의 윤곽이라고 할 수있다. 

 

멜로디라는 요소에 대한 이해는 위에서 말한 올라가는 패턴, 내려가는 패턴에 대해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모든 음악에는 테마가 있다.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다른 음정과 리듬과 화음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다. 

 

멜로디를 이해하도록 한다는 것은 단순히 노래의 음정을 알게하는 것이 아니라 조금 더 나아가 그 음악이 가지고 있는 멜로디의 패턴을 알아챌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하지 않을까..

 

하모니(화성) : 멜로디를 음의 순차적 연결 즉 수평의 개념으로 생각한다면 하모니는 수직적인 연결을 나타낸다. 음정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이는 인간의 귀에 평온하게 들리는 음정(어울림 음정, 협화음)과 불편하게 들리는 음정(안어울림음정, 불협화음)이다.

 

1도화음,  4도화음,  5도화음이 어떤 음정으로 구성되느냐 같은 것도 중요하지만 하모니의 이해라는 것은 협화음과 불협화음의 차이를 느끼고, 어떤 때에 어떤 화음을 사용하니 어떻게 들리더라.. 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면 좋겠다.

 

 

->이처럼 조금 더 본질적인 음악의 요소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면 악곡의 음악적 특징을 이해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표제음악의 특징이건 노동요, 놀이요, 춤곡의 특징이건 기본적으로 음악의 요소를 가지고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음악의 요소에 대한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졌다면 악곡의 특징에 대한 수업을 할 때에는 음악 외적인 부분을 다루면 될 것이다.

 

 

*다음은 생활화 영역으로~

 

 

728x90
반응형